1986년, 기술실증기(BAE EAP) 초도비행 (개발 -2년차)
1988년, 디자인 요구사항 통합 및 개발계획 시작
1994년, 유러파이터 시제 1호기 초도비행 (개발 6년차)
2002년, 최초의 암람 실사격-유도 수행 (개발 14년차)
2003년, 유러파이터 T1 양산기 각국에 인도 개시 (개발 15년차)
2004년, 유러파이터 T1 IOC 획득(개발 16년차)
2005년, 최초의 암람 사격-표적격파 수행(개발 17년차)
2009년, 유러파이터 T1 FOC 획득(개발 21년차)
2015년, 유러파이터 T1 퇴역 개시(개발 27년차)
2017~19년, 유러파이터 생산라인 종료(개발 29~31년차)
2030년, 영국공군 유러파이터 운용 종료예정
여기서 개발 X년차는 RFI 발부 및 디자인, 컨셉트, 요구조건 통합 등의 기간을 배제한체 본격적인 개발계획이 승인되고 예산이 투입되기 시작한 시점(1988년)을 기준으로 합니다. 사실 이전단계까지 따지면 유러파이터는 70년대부터 시작된 사업이라...
F-35를 이와 비교해보자면

2000년, 기술실증기(X-35) 초도비행(개발 -1년차)
2001년, 주계약자(LM) 선정 및 개발계획 시작
2006년, F-35A 시제 1호기 비행 시작(개발 5년차)
2013년, 최초의 암람 실사격-유도 수행, 연말 중 암람 실사격-격파 수행예정(개발 12년차)
2015년, 미해병대에 의한 F-35B IOC 수행예정(개발 14년차)
2016년, 미공군에 의한 F-35A IOC 수행예정(개발 15년차)
2019년, 미공군에 의한 F-35A FOC 완료예정(개발 18년차)
2039년, 현재 예정된 인도물량/스케줄을 생산 완료하는 년도(개발 38년차)
2040년대 말~50년대 기체수명 8000시간 규격으로 만들어진 F-35 초도기들이 별도의 수명연장 사업을 받지 않았을 경우*, 퇴역을 시작하게 되는 년도
*미국의 변경된 기체수명 요구사항에 따라 기본 8000시간 운용에 더해 추가적으로 16000시간의 운용을 상정한 내구도 테스트를 받음.
p.s 이해를 돕기 위한 영국공군의 유러파이터 운용예정 도표

현재는 T1의 퇴역계획이 앞당겨져서 2015~17년 사이에 T1이 퇴출될 예정입니다.
덧글
결국 죽어라 굴릴걸 뽑아야 하는데 물량 가져오면 퇴역 시작할 유파. 하하하핳.
남로당이 여기있습니다!
게다가 퇴역어쩌고 따질꺼였으면 퇴역에맞춰 발빠르게 주력전투기를 갈아줘야되는데 그게 가능하기나 했습니까?
지금굴리는 f-4,f-5,f-15,f-16은 뭐 5~6년전에만들어진건줄아시나.